공지사항

  • 깃허브랑 블로그의 운영 고민과 결론
즐거운 개발계발
무한한 계발
즐거운 개발계발

블로그 메뉴

  • 글쓰기
  • 관리자 페이지
  • 분류 전체보기 (26)
    • GitHub Project (0)
    • 소소한 공부 메모 (12)
    • 오픈 다이어리 (0)
    • WEB (3)
      • [자바 웹개발 워크북 - 프리렉 출판] (2)
      • 서블릿 & JSP (1)
    • Java (5)
    • DB (Oracle) (0)
    • Spring (0)
    • SQLD (1)
    • Front-End (1)
      • CSS (1)
    • Tools (3)
      • Git (1)
      • Visual Studio Code (1)
      • 파워포인트 (1)
    • CI_CD (0)
    • Coding Test (1)
      • Problem Solving (0)
      • Tips (1)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즐거운 개발계발

무한한 계발

이클립스 로컬저장소 만들기
Tools/Git

이클립스 로컬저장소 만들기

2022. 11. 22. 13:56

저는 스프링부트로 간단하게 만든 프로젝트의 로컬저장소를 만들려고 합니다. 어떤 종류의 프로젝트든 상관없습니다.

 

로컬 저장소를 만들 프로젝트 오른쪽 마우스 클릭 => Team => Share Project 선택

 

 

'Use or create repository in parent folder of project' 클릭

 

표시된 프로젝트를 클릭하면 아래의 Create Repository가 활성화가 됩니다.

 

Create Repository 클릭

 

 

 

버튼 클릭 직후, 숨김파일 보기를 하면 .git 의 폴더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git 파일은 프로젝트내의 다른 파일들과 함께 있어야 합니다. 안그러면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gradle 임포트시에 제대로 임포트가 되지 않습니다.

 

이클립스에서 [Window] => [Show View] => [Other...] 클릭

Git Repostiories 클릭후 Open

 

GIT_TEST 로컬저장소가 만들어 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후, GIT_TEST => Remotes => Create Remote... 클릭

 

Create 클릭

 

Change 클릭

 

 

Git Hub에서 만들어둔 원격저장소의 URL을 미리 카피해두면, 자동으로 생성이 됩니다. 자세한건 깃토큰과 원격저장소 만들기를 알아야 합니다. Finish 클릭

 

Save 클릭

 

 

아래처럼 로컬저장소가 원격저장소와 연결이 되었습니다.

 

 

* 참고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임포트 할때는, Project explorer에서 import gradle project를 해야한다.

로컬저장소에서 우클릭 import 해서는 안된다. gradle이 인식이 되질 않는다.

 

* .git 투명폴더가 보이는 곳에 깃허브는 경로를 구성한다. 즉, .git과 프로젝트 폴더가 한경로에 있으면 깃허브에서도 .git과 프로젝트 폴더를 보여주기 때문에, 그래들 임포트 할때, 내부 프로젝트의 폴더를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도 임포트가 가능하긴 하다. 이걸 몰라서 엄청 해맸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즐거운 개발계발
    즐거운 개발계발
    웹개발을 공부하며 기록을 남기기 위한 블로그 입니다. 댓글로 서로 소통하며 같이 공부해요 깃허브: https://github.com/klssh3126

    티스토리툴바